부동산/승마사업

[스크랩] 승마산업 활성화를 통한 마필수요확대와 농촌즐길거리

ghkdwp 2007. 4. 2. 19:50
승마 활성화를 통한 마필수요 확대와 농촌활력 도모

농림부는 꾸준히 늘고 있는 승마산업을 활성화하여 국민의 레저수요 충족과 농촌 활력을 도모하고 경마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종합적인 "마필산업육성대책"을 마련했다.

현재 전국 약 860여 농가가 18천 여두의 말을 사육하고 있으며 중 제주마(일명 조랑말)가 10천두, 경주마가 8천여두에 이른다. 또한 전국에 등록된 승마장 47개소를 포함 130여개소의 승마장이 운영중이며 국내 승마인구는 약 2만명으로 추정된다.

• 첨부파일 : 0107 마필산업육성(축산정책).hwp

 

 

보도자료

(농림부)

제공일 : 2006.  1.  7.

○ 제공자 : 농림부 축산정책과

○ 과  장 : 김 경 규

○ 사무관 : 이 주 영

○ 전  화 : 500-1898

이 자료는 2006년 1월 9일 조간 이후에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목 : 승마 활성화를 통한 마필수요 확대와 농촌활력 도모

        - 농림부, ‘마필산업육성대책’ 마련


농림부는 꾸준히 늘고 있는 승마산업을 활성화하여 국민의 레저수요 충족과 농촌 활력을 도모하고 경마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종합적인「마필산업육성대책」을 마련했다.

현재 전국 약 860여 농가가 18천 여두의 말을 사육하고 있으며 중 제주마(일명 조랑말)가 10천두, 경주마가 8천여두에 이른다. 또한 전국에 등록된 승마장 47개소를 포함 130여개소의 승마장이 운영중이며 국내 승마인구는 약 2만명으로 추정된다.

승마산업부문

말 수요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앞으로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승마업 규제를 완화하는 각종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 마필생산농가 등이 큰 자본 없이도 승마업을 할 수 도록 승마장 시설기준의 완화를 추진(체육시설및이용에관한법률 시행규칙 개정 필요)

    - 실외마장 면적 조정 : (현행) 3,000㎡이상 → 1,500㎡이상

    - 운용두수 : (현행) 10두 이상 → (개정) 5두 이상

  ○ 도시 인근지역의 경우 지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관리지역에서도 승마장 설치가 가능토록 관련규정 개정을 추진(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시행령 개정 필요, 현재는 계획관리지역에서만 가능)

  ○초지전용허가 대상에 승마장을 포함하여 초지 또는 마사주위에 승마장 설치가 가능토록 함(초지법시행령 개정 추진)

농촌개발사업과 승마 체험관광을 연계하는 한편 승마장 설치에 대한 지원을 늘려나간다.

  ○ “녹색농촌체험마을 조성사업지”로 선정된 마을(123개)과 촌마을 종합개발사업지“로 선정된 권역(현재까지 36개) 중 승마장 설치여건이 유리한 지역의 지자체와 협의하여 승마장 설치 소요자금 중 일부를 지원

   - 임도 또는 해안도로를 갖춘 지역의 경우 산책승마(외승) 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지구력 경기(Endurance)를 체험할 수 있도록 시설 유도

  ○ 현재 강원 평창, 경북 영천, 전북 장수, 전남 신안, 제주도 등의 지자체가 자연경관․문화 또는 기존의 농촌지역 개발사업과 연계하여 승마장 운영사업을 적극 추진 중

초․중등학생에게 승마체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전국규모 승마대회를 신설하는 등 생활승마 보급을 확대한다.

  ○ 초․중등학생에게 지원하는 승마체험 프로그램은 시범적으로 초․중․고 10개교 내외를 대상으로 특별활동으로 지원하고 성과를 보아 지자체 등과 협의하여 확대

    - 일정 자격요건을 갖춘 승마장을 지정하여 이용료 일부를 지원

  ○ 농림부장관배 승마대회(상금 신설), 국산마 승마대회, 지자체의 국산마 대상 지구력 경기(Endurance) 신설 등을 통한 승마 보급 확대

    - 경주마로 활용되지 못한 마필을 승용마로 활용하여 말 생산농가소득을 증대하고 승마상금을 지원하여 생활승마 활성화를 유도

  ○ 이외에도 장애우 지원을 위한 마사회의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함

경마산업부문

□ 경마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마주 문호를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조련시설 확충과 외마사 제도 도입 등 경쟁적인 경주체제를 확립해 나간다. 

경마시행체인 한국마사회로 하여금 현재 엄격한 마주 자격요건을 완화하여 어느 정도 자격을 갖춘 자는 마주가 될 수 있도록 마주문호를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기수 및 조교사 시장도 개방체제로의 전환을 유도해 나간다.

   - 기수, 조교사 면허취득 응시요건을 완화하고 외국면허를 인정하여 외국기수나 조교사의 국내 개업과 출주를 허용

   ※ ´05년 12월 마주 기확대 조치 : 450 → 550명

 ○ 경주마 조련 및 휴양공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적정 부지를 보, 경주마 조교시설과 외마사를 설치하여 경마시행 여건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함으로써 연령별 경주편성 등을 가능토록 한다.

   - 서울경마장 경주마 수용능력 : ´05) 1,420 → ´11) 2,000두

   - 경주당 편성두수 : ´05) 10.5두 → ´11) 14두

 ○ 경주마 개량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말 개량목표를 설정하여 고시하고 Shuttle Stallion(계절에 따라 남반구 북반구를 순회하며 교배하는 우수종마)활용을 위해 남반구 국가(호주, 뉴질랜드 등)와 씨수말 교류 검역공조체계 구축을 추진해 나간다.

    ※ 현재는 남반구 경마 선진국과의 말 검역공조체계가 구축되지 않아 외국의 우수 씨수말 활용에 애로가 있다.

 ○ 농가의 육성마(경주마로 판매하기 위해 농가에서 육성중인 말)를 말 재해 공제대상에 포함하여 말 생산 농가의 경영안정을 도모한다.

   ※ 현재는 경주마(2,400두)와 씨암말(1,600두)만 공제대상으로 하고 있어 육성마(약 2,000두) 재해시 농가에 큰 부담으로 작용

 기   타

□ 제주도 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마육 소비촉진을 추진하고 전문 마육생산을 위해 일정 생산규모를 갖춘 도축․가공공장에 시설비를 지원하기로 하였다. 또한 일본으로의 마육 수출을 재개하기 위해 농진청 등을 통해 마육의 품질향상과 비육기술 연구․보급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 일본은 마육소비의 70%를 수입(미국, 카나다 중국 등)에 존하고 있고 우리나라(제주도)도 ‘90년~97까지 일본에 마육을 수출한 실적이 있음

농림부는 마필산업 육성대책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경우 장기적으승마, 경마 등을 위한 마필의 생산․조련․활용의 순환체계가 형성되어 마필생산농가의 소득증대와 마필 연관산업(펜션, 휴양, 관광 등) 확대에 따른 파급효과로 해당 지역의 고용창출과 농촌 활력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첨부 > 국내마필산업현황

< 참 고 >

국내 마필산업 현황

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꠲

  □ 사육규모

구 분

1988년

1990년

2000년

2004년

비 고

사육가구수

438

384

520

(내륙222

860

(내륙348

 

제주298)

제주512)

사육

두수

개량종

1,899

3,088

5,747

7,977

연말기준 총 사육 개체수임

재래종

1,631

1,824

4,778

10,305

3,530

4,912

10,525

18,282


     ※ 내륙지역의 경마공원 및 생산농가 약 40개소 제외시 300여 가구가 승용, 관상용, 육용 등의 목적으로 약 2,500두의 마필 사육중


  □ 연관산업 현황(마사회 보유시설 제외)

(단위 : 개소수)

승마업

농가보유 

씨수말(종부업)

전문육성 조련시설

말전문 수의사업

장제업

마육 전문요리점

130

29두

4

12

5

30

    ※ 제주도에서 일본에 마육수출(´90~´97 : 10.7톤)

    ※ 장제업 : 말 발굽을 깍고 편자를 창착시켜주는 업


  □ 마필산업의 산업유발효과(‘05년 기준)

구  분

경  마

마필생산

육성,조교

사료 등 연계산업

승  마

산업유발효과

22,420억원

330억원

490억원

170억원

370억원

23,780억원


     ※ 경마부문에서의 유발효과는 고객 환급금은 제외하고 수득금만 포함

출처 : 승마.승마장.승마클럽.승마동호회.
글쓴이 : 승마 마신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