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복지

[스크랩] `노인가구 주택개조 매뉴얼` 활용방법

ghkdwp 2009. 7. 13. 15:01

     

'노인가구 주택개조 매뉴얼' 활용방법

□ 매뉴얼 개발목적

 

ㅇ 고령자의 주거안전 확보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노인가구의 주택을 노인의 신체적·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노인가구 주택개조기준을 마련(‘05.12)

 

ㅇ 노인가구 주택개조 기준이 실질적인 주택개조에 활용될 수 있도록 개조를 원하는 노인 및 개조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위한 노인가구 주택개조 매뉴얼 개발(‘06.12)

 

□ 매뉴얼 활용절차

 

주택개조 필요성 발견

(주택개조 제안 혹은 노인가구 신청)

 

시군구 개조 담당자

(공무원, 사회복지사, 홈헬퍼, 간호사, 기타 관련 직종 종사자) 혹은 노인가구

 

 

 

개조 상담

* <노인 특성 파악을 위한 조사표> 활용

 

시군구 담당자 혹은 민간 개조 사업자

 

 

 

주택 방문조사

* <주택개조 전 점검표> 활용

 

개조 시공업자 혹은 시군구 담당자

 

 

 

개조필요부분 설명 및 제안

 

개조 시공업자 혹은 시군구 담당자

 

 

 

개조여부 및 개조사항 결정

 

개조 대상가구

 

 

 

조정 및 검토 후 견적서 작성

 

개조 시공업자

 

 

 

공사완료 후 점검 / 보수

 

시군구 담당자 / 개조시공업자

 

 

 

□ 매뉴얼 활용시 사전 조사사항

 

ㅇ 노인의 개조과정을 도와주고 상담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노인가구 주택개조기준과 매뉴얼의 내용을 면밀히 파악

 

ㅇ 개조매뉴얼이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어 주택개조가 실행될 수 있도록 대상 노인과 주택에 대한 사전 정보 파악 필요

- 조사 개요 : 면담방식, 면담일시, 면담장소, 면담자 기본사항 및 연락처(주소 및 전화번호)

- 대상 노인 특성 파악

• 인구학적 특성 : 연령, 성별, 가족구성(관계, 동별거 여부, 건강상태, 성별, 연령, 연락처, 특이사항 등)

• 신체적 특성 :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 이동능력, 현재 질환의 종류와 정도(*필요시 의사소견서), 과거병력, 장애 종류, 위치 및 정도, 보조기구 사용 현황(종류 및 정도), 신장, 몸무게 등

• 경제적 특성 : 소득수준, 개조비 지출 가능성 정도

• 사회적 특성 : 생활양식, 외부 활동 종류 및 내용

• 심리적 특성 : 성격, 개조의향

 

<표 1> 노인 특성 파악을 위한 조사표

면담개요

면담방식

대면 / 전화 / 서면 / 인터넷 / 기타

면담일자

년      월      일      :           ~           :

면담장소

 

면담자정보

성 명

 

성별

남 / 여

생년월일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 소

 

가족관계

성명

관계

성별

연령

동거여부

건강상태

특이사항

               
               

건강상태

신장

몸무게

일상생활

수행능력

ADL

식사하기

 

화장실사용하기

 

이동하기

 

옷입기

 

세수하기

 

목욕하기

 

대소변조절하기

 

IADL

몸단장하기

 

집안일하기

 

식사준비하기

 

빨래하기

 

근거리외출하기

 

원거리외출하기

 

물건사기(쇼핑)

 

금전관리하기

 

전화사용하기

 

약챙겨먹기

 

이동능력

 

질병

현재질병

(정도)

(정도)

과거병력

 

 

장애

장애 여부

 

장애 부위

 

장애 정도

 

보조기구

(정도)

(정도)

(정도)

경제수준

월소득액

 

자산규모

 

 

개조비

지출의사여부

   

지출가능금액

 

 

외부활동

은퇴여부

 

외부활동

(정도)

(정도)

(정도)

참고사항

 

 

- 주택 현황 사전 점검

• 기초자료 수집 : 도면 작성(위치, 치수, 특이사항 명시), 사진 촬영

• 주택의 상황 : 주택유형, 규모, 층고(사용층수), 주택경과년수, 소유/임대여부, 거주양식, 개조 실태, 개조 요구 사항 등

• 개조 가능성 여부 파악 : 주택외부(담장, 축대, 계단, 지붕, 처마, 외벽, 문, 대문 등)와 주택내부(바닥, 벽, 천장, 계단, 문, 창문 등) 점검

 

<표 2> 주택개조 전 점검표

 

점검 내용

아니오

특이사항

공통

사항

외벽에 균열이 있는가?(단독주택)

 

 

 

기초와 벽 사이에 벌어진 부분이 있는가?(단독주택)

 

 

 

기초에 균열이 있는가?(단독주택)

 

 

 

지붕의 상태가 적당한가?(단독주택)

 

 

 

벽체에 단열재가 들어가 있는가?(단독주택)

 

 

 

벽에 배부름 현상이 있는가?

 

 

 

천장에 처진 부분이 있는가?

 

 

 

바닥에 꺼진 부분이 있는가?

 

 

 

창문이 뒤틀린 곳이 있는가?

 

 

 

각 실에 난방은 잘 되는가?

 

 

 

창은 이중구조인가?

 

 

 

현관

외부 진입 시 경사로를 설치할 수 있는 기울기와 폭을 확보할 수 있는가?(단독주택)

 

 

 

현관 규모를 확장할 여유 공간이 있는가?

 

 

 

벽체 철거 및 변경이 가능한가?(구조 및 내력벽 여부)

 

 

 

문틀이 기울어지지 않았는가?

 

 

 

침실

공간 확장을 위해 벽체 철거가 가능한 구조인가?

 

 

 

출입문 확장 및 변경을 위해 벽 일부 절단이 가능한가?

 

 

 

문틀이 기울어지지 않았는가?

 

 

 

문턱만 별도로 제거 가능한가?

 

 

 

창의 크기, 높이, 넓이 조정이 가능한가?

 

 

 

거실

공간 확장을 위해 벽체 철거 및 변경이 가능한가?

 

 

 

출입문 확장 및 변경을 위해 벽 일부 절단이 가능한가?

 

 

 

창의 크기, 높이, 넓이 조정이 가능한가?

 

 

 

욕실

욕실 설비를 갖출 공간 규모가 되는가?

 

 

 

출입문 확장 및 변경을 위해 벽 일부 절단이 가능한가?

 

 

 

출입문 개폐방향을 변경해도 문 앞뒤에 여유 공간이 있는가?

 

 

 

방수처리가 잘 되어 있는가?

 

 

 

바닥재 교체가 용이한가?

 

 

 

급배수 상태가 원활한가?

 

 

 

부엌 및

식당

작업대 설치가 가능한 규모인가?

 

 

 

공간 확장을 위해 벽체 철거 및 변경이 가능한가?

 

 

 

작업대 설치가 가능한 벽체인가?

 

 

 

급배수 상태가 원활한가?

 

 

 

발코니 및

다용도실

바닥 면적 확장이 가능한가?

 

 

 

벽체 철거 및 변경이 가능한가?

 

 

 

급배수설비 설치가 가능한가?

 

 

 

방수처리가 되어 있는가?

 

 

 

급배수 상태가 원활한가?

 

 

 

 

* 위의 주택개조 전 점검표를 활용하여 구조적, 물리적인 측면에서 해당주택의 개조 가능성 여부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는 건축, 시공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점검되어야 하고 안전 진단을 통해 구조적인 결함이나 안전상의 문제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해당주택에서 개조가 가능한 부분과 불가능한 부분에 대해 판단한다. 또한 해당주택이 노인가구의 노후생활의 안전성과 자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조가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 가족 및 지역사회서비스 이용 현황 파악

• 재가복지 서비스 이용 상황: 종류, 이용빈도, 소요비용

• 개별적인 도우미 활용 상황: 도움의 내용, 이용빈도, 소요비용

• 가족. 친지로부터의 보조 상황: 보조의 내용, 이용 빈도

- 지역 내 노인가구 주택개조 시공가능업체 존재여부 파악 및 활용 가능성 점검

- 개조 후 개조 항목별 점검 및 주기적 사후관리 계획 사전 수립

 

 

출처 : 아카데미디벨로퍼(부동산개발인모임)
글쓴이 : 안병관 원글보기
메모 :